로그인 회원가입
조회 수 3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 시대는 교회 공동체 존립과 신앙생활을 돕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코로나19 이후 우리가 마주한 새로운 현실은 기존 생활 방식과 신앙 습관을 벗어나 전혀 다른 차원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그러므로 이 시대는 교회 공동체 존립과 신앙생활을 돕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1. 온라인 예배와 온라인 교회 사례

 (1) 2004년에 영국에서 탄생한 온라인 교회 Church of Fools는 홈페이지를 통해 예배를 송출했다. 

인터넷상 새로운 교회를 개척해 복음 전파와 선교를 목표로 했다. 

예배 시작 후 첫 2주는 8000명이 찾아왔으며, 많을 때는 4만 명까지 출석했다.

 

online church.jpg

 

교회가 온라인 예배에 참석한 이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보면 응답자의 39%는 정기적으로 교회에 출석하지 않은 이들이었다. 또한 응답자의 50%가 30대 이하였고 60%가 남성이었다. 젊은 층 성도가 상당수 참여한다는 의미다. 온라인 교회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고 볼수 있다

 

 (2) 2004년 등장한 I-Church이다. 옥스퍼드 교구는 웹 목회자를 임명하고 '선교형 교회'를 지향했다. 교회의 본래 목적이 선교에 있음을 선포하고 온라인을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나라 가치를 실현하고자 했다. 

I-Church는 크게 세 부류 대중을 목표로 설정했다. 

지역 교회 출석이 어려운 이들, 

예배 공동체를 찾지 못한 이들, 

여행이나 직장 문제로 교회 출석이 어려운 이들이다. 

웹 목회자로 임명된 앨리슨 레슬리(Alyson Leslie)는 수도원적 영성 공동체를 지향한다. '기도, 연구, 사회적 책무'라는 모토를 가지고 약 7000명의 멤버십을 유지해 오고 있다. 

공동체는 더 작은 그룹으로 분화하면서 '공동체들의 공동체'라는 콘셉트를 유지한다. 그룹마다 권위 있는 성직자들에 의해 임명된 담당 목회자를 세웠다.

 

(3) 미국에도 온라인 교회가 등장했다. 

1996년 프로젝터를 이용해 창고에서 예배하던 LifeChurch.tv이다. 

이 교회는 2009년 13개 온라인 캠퍼스를 두었다가 2016년에는 26개로 성장했다. 오클라호마에서 목회하는 담임 목회자 크레이그 그로쉘(Craig Groeschel)의 메시지가 온라인과 대형 스크린으로 전달된다. 메시지는 교리보다 하나님과의 관계에 집중하고 있다.

 

각 온라인 캠퍼스는 담당 목회자와 찬양팀을 두고 소그룹과 주일학교 사역을 진행한다. LifeChurch의 성공은 2009년 Internet 캠퍼스에서 Church Online으로 전환해 방문자에게 지속적으로 영상과 블로그 정보를 공급하고 수많은 봉사자가 채팅과 상담을 통해 소그룹을 관리한 결과이다. 

 

시몬 젠킨스는 인터넷을 '뉴 타운'(a new town)으로 묘사하면서 새로운 영역 등장에 따른 새로운 교회 탄생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이해했다. 

하이디 캠벨은 이를 E-vangelism 운동으로 보았다. 

인터넷 공간을 선교 현장으로 이해하고 복음 전파를 위해서 온라인 교회 활동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온라인 신앙 생활이 성도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을까? 

2004년 Pew Internet & America Life Project 보고서에 의하면 응답자의 64%가 영적·종교적 이유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만족도도 상당히 높다. 새로운 방식으로 타자와의 연결과 영적 경험을 추구하는 이의 필요를 채워 주고 있다. 특히 장애를 비롯해 여러 가지 이유로 교회 출석이 어려운 이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2. 오프라인교회와 온라인교회를 병행해야 한다.

하이디 캠벨은 유대교, 이슬람교, 기독교가 새로운 미디어를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세밀하게 관찰했다. 그는 기술이 공동체 가치와 습관을 더욱 강화하는 쪽으로 공동체에 의해 사용된다고 주장한다.

 

online_worship.jpg

 

기술과 매체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매체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온라인 교회는 지역 교회를 강화하고 확장하는 방향으로 활용해야 한다. 예배 참석이 어려운 이를 돕고 신앙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유연한 연대를 돕는 도구가 돼야 한다. 

 

종교가 미디어화 할 때 핵심 가치와 종교적 실천

종교가 미디어화 할 때 핵심 가치와 종교적 실천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종교가 전통을 고수하고 전파는 수단으로 어떻게 미디어를 활용하는지도 관찰할 필요가 있다. 

캠벨은 인터넷을 선교 영역(Mission Field)으로 접근해야 하고, 온라인은 실제적으로 영적·종교적 공간이 될 수 있고 선교를 위한 장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제3의 교회로서 지역 교회와 성도의 사이 공간

제3의 교회로서 온라인 교회는 지역 교회와 성도의 사이 공간으로서 유연성과 관계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신앙생활을 영위하도록 안내할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시공간을 초월해 모든 사람에게 연결된다. 하나님나라 특징과 상당히 유사하다. 

'네트워크로서 하나님나라'(kingdom as a network)는 우리에게 교회와 다른 공동체가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그림을 그려 준다. 이는 사랑과 정의, 자비로 나아가게 하는 관계망이다.

'나는 연결돼 있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는 네트워크 사회의 존재론을 가장 잘 설명해 준다. 비대면 사회에서 인간은 끊임없이 누군가와 연결되고 싶어 한다. 이러한 소속감에 대한 욕구는 이 시대적 가치로 네트워크 사회에서 온라인 예배 공동체의 가능성을 부각시킨다.

 

인터넷 공간의 거룩성과 공동체성 확보

하나님나라 관점에서 인터넷 공간의 거룩성과 공동체성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온라인 교회는 특수 공동체를 묶는 좋은 방식이다. 가령 해외 거주 한인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처럼 인종·문화·언어를 중심으로 각기 정체성을 유지하고 발전할 수 있는 공동체를 위한 좋은 장이 될 것이다. 

그리고 소규모 온라인 공동체를 구축하면서 1년에 몇 차례 오프라인 모임을 가진다면 새로운 교회 모임으로 발전할 수 있다. 온라인 교회를 지역 교회로 발전시키는 좋은 개척 모델이 될 것이다.

 
 
** 이 글은 김승환 목사의 글을 재구성 하여 만든 것입니다.
김승환 / 목사, 인문학&신학연구소 에라스무스 연구원
[출처: 뉴스앤조이] 해외 사례를 통해 보는 온라인 교회의 한계와 가능성
 

  1. 하늘나라의 신비함.

    Date2017.10.09 Views1289
    Read More
  2. 찬양으로 예배를 수종드는 자들은 음악의 재능과 테크닉은 기본이요 상식이다. (3)

    Date2016.12.30 Views1768
    Read More
  3. 찬양 인도자는 회중들이 찬양을 하도록 돕는 도우미가 되어야 한다. (4)

    Date2016.12.31 Views2194
    Read More
  4. 온라인 플랫폼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Date2023.06.29 Views335
    Read More
  5. 예배드릴때에 찬양인도를 누가 해야 하는가?

    Date2019.05.02 Views1396
    Read More
  6. 성령의 흐름을 위한 찬양인도자의 기본자세 (1)

    Date2016.12.28 Views258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